본문 바로가기
4자성어

감탄고토 (甘呑苦吐) 뜻과 유래 ;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

by singing3 2025. 6. 18.
반응형

📘 오늘의 사자성어: 감탄고토 (甘呑苦吐)


🔤 글자별 음과 뜻

한자
달콤하다
삼킬 삼키다
쓰다
뱉을 뱉다
 

📌 직역:
“달면 삼키고, 쓰면 뱉는다.”

👉 자기에게 이로우면 취하고, 불리하면 버리는 이기적인 행동이나 태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.


📖 뜻풀이

상황이나 사람을 자신의 이익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이기적인 태도를 비판하는 말.

즉, 달콤하면(자신에게 유리하면) 삼키고, 쓰면(자신에게 불리하면) 뱉는
변덕스럽고 자기중심적인 행동을 비유합니다.

🙅‍♂️ 약속을 어기고, 힘들어지면 등을 돌리는 사람들의 모습을 풍자할 때 자주 쓰입니다.


🏺 유래 (한자성어 자체가 고사에서 유래한 것은 아님)

이 성어는 특별한 고전 고사에서 나온 말은 아니지만,
옛 문헌과 속담에서 인간의 이기적인 본성을 꼬집는 표현으로 사용되며 만들어진 성어입니다.

비슷한 의미를 지닌 속담:

  • “형편 따라 말을 바꾼다.”
  • “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.” (속담에서 그대로 온 표현)

이 사자성어는 특히 정치, 사회, 인간관계 속에서 변덕스러운 행동이나 배신을 꼬집을 때 자주 사용됩니다.


✨ 각 글자의 형상적 유래 (상형 또는 회의자 분석)

한자형상 유래 설명
한자 형상 유래 설명
甘 (감) 입(口) 모양 아래에 일(日), 혀끝으로 맛을 보는 모습에서 유래. 단맛을 의미.
呑 (탄) 입(口) 안에 ‘큰 것’을 넣는 모습. ‘삼키다’의 의미. 입속으로 들이키는 동작에서 유래.
苦 (고) 풀(艹) + 옛날 형벌 도구(古). 풀의 쓴맛을 뜻함. 먹기 힘든 맛을 의미.
吐 (토) 입(口) + 흙(土). 입에서 뭔가를 토해내는 모습. 입에서 뱉는 동작에서 유래.
 

💬 함께 나누고 싶은 말

“필요할 땐 가까이, 불리하면 멀어지는 사람들.
그들은 감탄고토를 습관처럼 한다.”

진짜 관계는 유불리를 따지지 않는다.

함께할 땐 진심으로, 멀어질 땐 예의 있게.


🌟 이런 상황에 어울려요

  • 인간관계에 배신감을 느꼈을 때
  • 정치적 혹은 사회적 이기주의를 비판하고 싶을 때
  • 자기중심적 태도를 경계하고자 할 때

 

 

오늘의 4자성어 : 고진감래(苦盡甘來)

고진감래(苦盡甘來) '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'는 뜻으로 고생끝에 즐거움이 옴을 이르는 말이다.苦 : 쓸 고 (쓰다, 괴롭다, 괴로워하다)盡 : 다할 진 ( 다하다, 완수하다, 극치에 달하다)甘 :

singing3.tistory.com

 

타산지석 뜻풀이|남의 실패도 나에게 도움이 된다?

✅ 사자성어 ‘타산지석(他山之石)’ 자세히 풀어보기한자별 뜻풀이글자한자독음뜻타他다른 타타인, 다른 사람산山뫼 산산, 산맥지之갈 지~의 (소유나 연결의 의미)석石돌 석돌, 바위 👉 직역

singing3.tistory.com

 

역지사지(易地思之) 뜻과 유래

역지사지(易地思之)는 상대방을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마음가짐을 표현한 사자성어입니다. 단순히 의미만 아는 것에서 나아가, 각 글자의 음과 뜻, 그리고 유래까지 제대로 알고 써야 진정한

singing3.tistory.com

 

감언이설(甘言利說)의 뜻과 유래

📜 오늘의 사자성어: 감언이설(甘言利說)📖 한자 풀이한자음(독음)뜻甘감 (달 감)달다, 달콤하다言언 (말씀 언)말利이 (이로울 이)이익, 이로움說설 (말씀 설)말, 설명 📖 뜻풀이달콤한 말과 이

singing3.tistory.com

 

자승자박(自繩自縛)의 뜻과 유래

📘 자승자박(自繩自縛)📖 한자 구성한자음(독음)뜻自자 (자기 자)자기 자신繩승 (줄 승)줄, 끈自자 (자기 자)자기 자신縛박 (묶을 박)묶다, 결박하다 📖 뜻풀이자기 줄로 자기를 묶는다는 뜻으

singing3.tistory.com

 

반응형